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우딘퓨쳐스 주가 전망 소개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2. 5. 25.
반응형

반갑습니다. 아우딘퓨쳐스(227610)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가 전망 및 관련주 실적 분석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글은 2022년 05월 24일 작성 되었으며 주식투자를 권고하는 게시글이 아닙니다. 주식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아우딘퓨쳐스 기업 개요

 

영업적자폭 확대

동사는 2000년 12월 18일 설립되었으며, 2017년 7월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음. 동사는 화장품 ODM 및 자사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 제조업체로서 국내외 화장품 시장을 주요 목표시장으로 두고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는 기존에 영위하던 화장품 OEM/ODM 사업을 통해 축적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2009년 네오젠을 런칭였으며 끊임없는 연구를 지속하고 최고의 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반응형

 

최근 관련 News

  • [급등주]아우딘퓨쳐스 주가 29% 상한가, 美 진출 주목
  • [오전 거래 급증주 점검] 아우딘퓨쳐스, 거래량↑… 그 외 종목은?
  • 거래량 급증 아우딘퓨쳐스 '저평가' 삼호개발 '고평가' 세동 '다소 고평가' 기술력은?
  • 아우딘퓨쳐스 "美 최대 화장품 리테일러·백화점 본격 진출"
  • 코스피 코스닥 동반상승 출발, 광명전기 아우딘퓨쳐스 한탑 급등

 

아우딘퓨쳐스

아우딘퓨쳐스 주가 및 기타 종목 정보

반응형

 

현재 가격 1,335
전일 종가 1,425
52주 변동폭 3,830 ~ 1,140
시가총액 296억
배당수익률  
주가순자산비율 PBR 1.67배
주가수익률 PER  
추정 PER  
일 거래대금 568백만

 

동일 업종 관련주 리스트

  • LG생활건강 (현재가격 705,000)
  • 아모레퍼시픽 (현재가격 155,000)
  • 아모레G (현재가격 43,400)
  • 현대바이오 (현재가격 30,000)
  • 한국콜마 (현재가격 41,050)
  • 코스맥스 (현재가격 65,900)

 

금일 인기 종목 Best10

삼성전자, HMM, NAVER, LG에너지솔루션, 엘앤에프, 노터스, 한창, HLB, SK하이닉스, 카카오

 

 

오늘 최고 상승 주식 Best10

코스닥 에스피시스템스, 미코바이오메드, 유일로보틱스, 노블엠앤비, 현대공업, 가온칩스, 위니아, 세아메카닉스, 맥스트, 윌링스

 

 

52주 최고가 갱신 종목 BEST5

코스피 부산주공, 삼성 인버스 2X 나스닥 100 ETN(H), KODEX 미국나스닥100선물인버스(H), 삼성 인버스 나스닥 100 ETN(H), QV 코스피 변동성 매칭형 양매도 ETN

 

반응형

 

아우딘퓨쳐스 주봉

 

아우딘퓨쳐스 월봉

아우딘퓨쳐스 차트 주봉 및 월봉

큰 흐름을 보려면 주봉 및 월봉 체크는 필수 입니다 차트가 전부는 아니지만 주가 주봉 월봉을 통한 지금 추세가 상승추세 or 하락추세인지 정도는 둘러봐두실 필요가 있습니다.

그외에도 업종 싸이클이 있다보니 관련주 유사업종의 분위기도 같이 살펴봐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아우딘퓨쳐스 재무제표

아우딘퓨쳐스 재무제표

재무제표 파악 또한 중요한 체크요소입니다 회사의 가장 중요한 영업이익, 성장률 체크 해보시길 바랍니다.

 

매출 증가 404억 => 439억
영업이익 감소 -59억 => -77억
당기순이익 증가 -148억 => -84억
ROE(자기자본이익률) 증가 -45.48% => -39.72%
부채비율 증가 162.17% => 189.23%

 

금일 테마 상승 상위

  • 제습기 테마 종목 : 위니아, 파세코, 위닉스, 에스피지, 신일전자
  • 육계 테마 종목 : 마니커, 하림, 마니커에프앤지, 동우팜투테이블, 체리부로
  • 공기청정기 테마 종목 : 위니아, 위닉스, 에스피지, 오텍, 신일전자

 

이미 많이 오른 종목은 조심하세요. News들 잘 확인하시구요 다음 테마는 어떤 테마일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이렇게 아우딘퓨쳐스에 관련해서 체크해봤습니다. 하나의 종목에 매수 올인 하는 것은 위험해요~ 분산투자 하셔서 리스크 관리 꼭 하셔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